오늘_사자성어 100

036_ 고립무원(孤立無援)

이갱디 2025. 3. 18. 10:50
728x90
반응형

고립무원(孤立無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주변에 도움을 줄 사람이 아무도 없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혼자서 모든 것을 감당해야 하는 순간, 절실하게 손을 내밀어도 아무도 응답하지 않는다면 그것이 바로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다. 이 사자성어는 전쟁과 정치에서 비롯되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비슷한 경험을 하는 순간이 많다. 오늘은 고립무원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살펴보려 한다.

 

사자성어 고립무원


1️⃣ 한자 & 발음

  • 孤(외로울 고)
  • 立(설 립)
  • 無(없을 무)
  • 援(도울 원)
반응형

2️⃣ 뜻

홀로 고립되어 도움을 받을 곳이 없음
어려운 상황에서 주변의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3️⃣ 유래

고립무원이라는 표현은 주로 전쟁이나 정치적 상황에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중국 삼국지에서 촉한의 장수 제갈량(諸葛亮)이 북벌을 감행했을 때, 원군을 기대했으나 지원이 없어 고립된 상황에 처했던 사례가 있다.
이처럼 외부의 도움 없이 스스로 난관을 헤쳐나가야 하는 상황에서 쓰인다.


4️⃣ 활용 예시

  • 회사에서 중요한 프로젝트를 혼자 맡게 되었을 때
    → "팀원들이 모두 출장 가고 나 혼자 남아서 프로젝트를 맡으니, 완전히 고립무원이다."
  • 시험 기간에 친구들이 모두 놀러 갔을 때
    → "주변에 같이 공부할 친구도 없고, 나 혼자 남아서 고립무원 상태다."
  • 전쟁이나 위기 상황에서 지원군이 없을 때
    → "적진에 갇힌 군대는 고립무원 상태에서 끝까지 싸워야만 했다."
728x90

5️⃣ 유사어 & 반대어

 유사어

  • 사면초가(四面楚歌) :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여 도움을 받을 곳이 없음
  • 진퇴양난(進退兩難) : 앞으로 나아가기도 어렵고, 뒤로 물러나기도 어려운 곤란한 상황

 반대어

  • 천군만마(千軍萬馬) : 수많은 군대와 기병, 즉 강력한 지원군이 많음
  • 좌우지간(左右之間) : 주변에 도와줄 사람이 많아 어려움을 쉽게 극복할 수 있음

 

고립무원은 개인적인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주로 전쟁, 정치, 경제 등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어려운 순간을 혼자 극복해야 하는 상황에서 ‘고립무원’이라는 사자성어를 떠올려 볼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