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자성어]005_동문서답(東問西答)

이갱디 2025. 2. 10. 10:48
728x90
반응형

동문서답(東問西答), 질문과 답이 엇갈릴 때

 

일상 속 대화에서 우리는 종종 엉뚱한 답변을 듣게 됩니다. 질문과 전혀 상관없는 답변이 돌아올 때, 이를 ‘동문서답(東問西答)’이라고 합니다. 이 표현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까요?

 

[유래]

‘동문서답’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동쪽을 물었는데 서쪽을 답한다’는 뜻으로, 질문과 전혀 관련이 없는 대답을 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고전 문헌에서 비롯되었으며, 본래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키는 두 개념이 충돌할 때 생기는 의사소통의 혼선을 지칭하는 말이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의 엉뚱한 답변을 뜻하는 표현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한자 풀이]

동(東): 동쪽

문(問): 묻다

서(西): 서쪽

답(答): 대답하다

즉, 동쪽에 대한 질문을 했는데 서쪽에 대한 답을 한다는 의미로, 서로 맞지 않는 대화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활용 예시]

‘동문서답’은 상대방의 질문과 상관없는 대답을 했을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예시 1: "내일 날씨 어때?" "나는 김치찌개가 좋아." 예시 2: "이번 시험 잘 봤어?" "요즘 축구가 너무 재밌더라."

이처럼 대화가 엇갈릴 때 ‘동문서답’이라는 표현이 적절하게 쓰입니다. 때로는 상대방이 말을 제대로 듣지 못해서, 혹은 질문을 오해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부러 동문서답을 해서 유머를 주는 경우도 있죠!

 

[비슷한 뜻을 가진 다른 사자성어]

  • 난상토론(爛商討論): 깊이 있는 논의를 하며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을 의미.
  • 좌충우돌(左衝右突): 이리저리 부딪히며 방향을 잃고 헤매는 모습을 뜻함.
  •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논리적으로 맞지 않아 앞뒤가 맞지 않음을 의미.

[교훈]

‘동문서답’은 단순한 실수에서 비롯될 수도 있지만, 소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합니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원활한 의사소통의 핵심입니다. 우리의 대화에서 동문서답을 줄이려면, 질문과 대답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The single biggest problem in communication is the illusion that it has taken place."
 (의사소통에서 가장 큰 문제는 대화가 이루어졌다는 착각이다.)
– George Bernard Shaw

 

 

여러분도 대화 중 동문서답을 경험한 적이 있나요? 혹시 나도 모르게 엉뚱한 대답을 해서 상대방을 당황하게 한 적은 없었나요? 댓글로 재미있는 동문서답 경험을 공유해 주세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