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_사자성어 100

[사자성어]008_ 조삼모사(朝三暮四)

이갱디 2025. 2. 13. 10:52
728x90
반응형

조삼모사(朝三暮四): 상황에 따라 쉽게 변하는 태도

조삼모사(朝三暮四)는 눈앞의 차이에만 집착하여 전체적인 이익을 따지지 못하는 태도를 뜻하는 사자성어입니다. 상대방을 속이거나 자신의 기준 없이 쉽게 변하는 모습을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1. 유래

조삼모사는 중국의 고전 "장자(莊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야기 속에서 원숭이를 기르던 한 노인은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주겠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원숭이들이 불만을 가지자,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 주겠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이에 원숭이들은 기뻐했지만, 실제로 받는 도토리의 총량은 같았습니다.

이처럼 조삼모사는 눈앞의 이익만 보고 쉽게 태도를 바꾸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뜻으로 쓰입니다.

2. 한자 풀이

  • 조(朝): 아침
  • 삼(三): 셋
  • 모(暮): 저녁
  • 사(四): 넷

즉, '아침에 셋, 저녁에 넷'이라는 뜻으로, 작은 차이에 휘둘려 본질을 보지 못하는 태도를 비유하는 표현입니다.

3. 활용 예시

조삼모사는 일상에서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1: "그 친구는 회사 방침이 바뀔 때마다 의견이 달라. 완전 조삼모사야."

 예시 2: "처음에는 이 보험이 좋다고 하더니, 갑자기 저 보험이 더 좋다며 바꾸네? 조삼모사 아니야?"

4. 비슷한 뜻을 가진 다른 사자성어

 조변석개(朝變夕改): 아침에 바꿨다가 저녁에 또 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의견을 자주 바꾸는 모습을 의미합니다.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는 짐을 지고 여자는 짐을 머리에 이고 떠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관 없이 떠돌아다니는 상황을 비유합니다. ✅ 우왕좌왕(右往左往): 오른쪽으로 갔다가 왼쪽으로 갔다가 한다는 뜻으로, 갈팡질팡하며 방향을 정하지 못하는 모습을 뜻합니다.

5. 교훈

조삼모사는 단기적인 차이만 보고 중요한 본질을 놓치는 태도를 경계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종종 당장의 이익이나 감정에 휘둘려 장기적인 관점을 놓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조삼모사의 교훈을 기억하고, 신중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눈앞의 작은 차이에 속지 말고, 큰 그림을 볼 줄 알아야 한다." 📢

 

"사람들은 사소한 차이에 속아 넘어가지만,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 장자(莊子)

 

728x90
반응형